본문 바로가기

POST

삼각함수 정의와 계산 방법, 계산기 사용해보기

본 포스팅은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받습니다.

삼각함수는 수학뿐 아니라 물리학, 공학, 컴퓨터 그래픽, 신호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함수입니다. 특히 각도와 길이 사이의 관계를 다룰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삼각함수의 기본 개념과 계산 방법을 간단히 정리하고, 직접 계산해볼 수 있는 도구도 함께 제공합니다.

1. 삼각함수란?

삼각함수는 직각삼각형에서 각도와 변의 길이 간의 비율을 정의한 함수입니다. 주로 세 가지 기본 함수가 있습니다.

  • 사인(sin): 빗변에 대한 높이(대변)의 비율
    sin(θ) = 높이 / 빗변
  • 코사인(cos): 빗변에 대한 밑변(인접변)의 비율
    cos(θ) = 밑변 / 빗변
  • 탄젠트(tan): 코사인과 사인의 비율로, 높이 / 밑변
    tan(θ) = sin(θ) / cos(θ) = 높이 / 밑변

2. 각도와 라디안의 관계

삼각함수는 각도를 기준으로 계산하지만, 자바스크립트(JavaScript)나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내부적으로는 라디안(radian) 단위를 사용합니다.

이를 변환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:

라디안 = 각도 × π / 180

예를 들어, 90도는 π/2 라디안, 180도는 π 라디안에 해당합니다.

3. 삼각함수 계산 시 주의사항

  • 탄젠트 함수는 90도, 270도 등에서 정의되지 않습니다. (분모가 0이 되기 때문)
  • 소숫점 자리 수는 필요에 따라 반올림하거나 자를 수 있으며, 일반적으로 소수점 6자리까지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  • 계산기를 사용하실 때는 각도 단위(도/라디안)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
직접 삼각함수를 계산해보세요!

아래 계산기를 사용하면 원하는 각도에 대해 sin, cos, tan 값을 직접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 30도, 45도, 60도와 같은 기본 각도를 입력해보며 삼각함수 값을 확인해보세요.

👉 각도를 입력하고 [계산하기] 버튼을 눌러 결과를 확인하세요:

삼각함수 계산기